BUNSE
베트남 역사와 GDP 경제 순위 본문
베트남"Vietnam"은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수도는 하노이"Hanoi"입니다.
베트남의 면적은 약 33만 341㎢(세계 66위)으로 한반도 크기의 약 1.5배이며, 인구는 9949만 명(세계 16위)으로 인도차이나반도의 국가 중에서 가장 많습니다.
베트남의 국내총생산 GDP는 약 4658억 달러로 세계 34위이며, 1인당 GDP는 4623달러로 세계 122위입니다. *조사대상 192개국
지금부터 베트남 역사와 경제 상황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베트남 역사
베트남 지역은 수천 년에 걸쳐 다양한 왕조와 식민 지배, 그리고 독립 투쟁을 거치며 오늘날의 국가로 발전해 왔습니다.
고대 및 중세
- 홍브엉 시대 (기원전 2879년 – 기원전 258년): 전설에 따르면 홍브엉 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왕조로, 락롱꾸언 왕과 어우꺼 여왕이 나라를 세웠다고 전해집니다.
- 기원전 3세기: 안즈엉브엉이 기원전 258년 반랑을 멸망시키고 어우락 왕국을 세웠습니다.
- 기원전 111년: 한나라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되며, 이후 중국의 여러 왕조로부터 약 천 년간 지배를 받습니다.
독립 왕조 시대
- 938년: 응오꾸옌 장군이 백등강 전투에서 남한(南漢) 왕조를 물리치고 독립을 쟁취, 응오 왕조를 세웁니다.
- 939년 – 1802년: 여러 왕조가 교체됩니다. 대표적으로 리 왕조(1009-1225), 쩐 왕조(1225-1400), 레 왕조(1428-1788) 등이 있습니다.
- 1802년: 응우옌 왕조가 베트남 전역을 통일하고 수도를 후에로 옮깁니다. 이 왕조는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가 됩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
- 1858년: 프랑스가 베트남을 침공하기 시작합니다.
- 1883년: 베트남은 공식적으로 프랑스의 식민지가 됩니다.
- 1940년 –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이 베트남을 점령합니다.
현대사
- 1945년: 호찌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족주의자들이 독립을 선언하고 베트남 민주공화국을 세웁니다.
- 1946년~1954년: 프랑스와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하여,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이 승리하며 제네바 협정으로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이 분단됩니다.
- 1955년~1975년: 미국이 남베트남을 지원하며 베트남 전쟁(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생합니다. 1975년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점령하면서 전쟁이 끝나고 베트남이 통일됩니다.
-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됩니다.
경제 개혁과 현대
- 1986년: 도이머이정책이 도입되면서 경제 개혁이 시작되고, 시장 경제 요소가 도입됩니다.
- 1995년: 베트남이 아세안(ASEAN)에 가입하며 국제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합니다.
- 2007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합니다.
베트남 경제
베트남 경제는 지난 몇십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현재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제 개요
- 경제 개혁: 1986년에 시작된 도이머이("쇄신"이라는 뜻) 정책은 시장 지향적 개혁을 통해 경제를 자유화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정책 덕분에 베트남은 중앙 계획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 전환하며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 GDP 성장: 1990년대부터 2020년대 초까지 베트남은 연평균 6-7%의 경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빠른 경제 회복을 이루었으며, 2021년에는 2.58%, 2022년에는 약 8%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 주요 산업:
제조업 및 공업: 베트남 경제의 주요 동력으로, 특히 의류, 전자제품, 기계류, 가전제품 등이 주된 수출품목입니다. 삼성, LG, 인텔 등 다국적 기업들이 베트남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습니다.
농업: 쌀, 커피, 해산물, 후추, 고무 등 다양한 농산물이 주요 수출 품목입니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커피 생산국 중 하나입니다.
서비스업: 관광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금융 서비스, 소매업, 정보기술(IT) 서비스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무역: 베트남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경제로, 주요 무역 파트너는 미국, 중국, 일본, 한국, 유럽연합 등입니다. 2022년 베트남의 수출액은 약 366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 외국인 직접 투자(FDI): 베트남은 아시아에서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 중 하나로, 저렴한 노동력과 안정적인 정치 환경, 전략적 위치 등의 이유로 많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약 21억 달러의 FDI가 유입되었습니다.
도전 과제 및 전망
- 인프라: 급격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인프라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특히 교통, 전력, 물류 인프라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교육 및 기술력: 노동력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 기술 훈련에 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환경 문제: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환경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 보호 정책이 필요합니다.
- 국제 관계: 미국과 중국 사이의 무역 갈등,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등 외부 요인이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베트남은 다양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도이머이 정책" 이후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룩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프라 개선, 교육과 기술력 향상, 환경 보호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를 잘 극복해 나간다면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주요 경제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계 역사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덴마크 역사와 경제 GDP 순위 (2) | 2024.07.02 |
---|---|
말레이시아 역사와 GDP 경제 순위 (2) | 2024.07.01 |
방글라데시 역사와 GDP 경제 순위 (0) | 2024.07.01 |
이란 역사와 GDP 경제 순위 (1) | 2024.07.01 |
필리핀 역사와 GDP 경제 순위 (2) | 2024.07.01 |
싱가포르 역사와 경제 GDP 순위 (1) | 2024.07.01 |
노르웨이 역사와 GDP 경제 순위 (2) | 2024.06.30 |
아랍에미리트 역사와 GDP 경제 순위 (2)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