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SE

이라크 역사와 1인당 GDP 경제 순위 본문

세계 역사와 경제

이라크 역사와 1인당 GDP 경제 순위

Bunse 2024. 7. 17. 02:51

이라크"Iraq"는 서아시아의 아라비아반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로 수도는 바그다드"Baghdad"입니다.

 

이라크 면적은 약 44만 1839㎢(세계 58위)으로 한반도의 약 2배 크기이며, 인구는 약 4652만 명(세계 33위)입니다.

이라크 국내총생산 GDP는 약 2659억 달러로 세계 51위이며, 1인당 GDP는 5979달러로 조사대상 192개국 중에서 108위입니다.

 

지금부터 이라크 역사와 경제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라크 국기

 

 

 

이라크 역사

 

고대 메소포타미아

 

-  수메르(기원전 4500~1900년)

인류 최초의 문명 중 하나로, 도시국가 우르, 우루크, 라가시 등이 번영.
쐐기문자를 발명하고, 지구라트를 건설하며 고도의 문명을 이루었습니다.

 

-  아카드 제국(기원전 2334~2154년)

사르곤 대왕이 세운 제국으로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통일.

세계 최초의 제국으로, 아카드어가 공용어로 사용됨.

 

-  바빌로니아(기원전 1894~539년)

함무라비 왕의 법전으로 유명하며, 문화와 학문이 발전.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에 바벨론의 공중정원이 건설됨.

 

-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2500~605년)

강력한 군사력과 행정 시스템으로 메소포타미아 및 주변 지역을 지배.

니네베가 수도로서 번영하였으며, 많은 기록과 유물이 남아 있습니다.

 

페르시아, 헬레니즘, 사산 제국

 

-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39~331년)

키루스 대왕이 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아케메네스 왕조를 세움.

페르시아 제국의 행정 시스템과 도로망이 발전.

 

-  알렉산더 대왕과 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331~150년)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으로 헬레니즘 문화가 전파됨.

그의 사후, 셀레우코스 왕조가 이 지역을 통치.

 

-  파르티아 및 사산 제국(기원전 150년~서기 651년)

파르티아 제국이 메소포타미아를 지배.

사산 제국 시기에 조로아스터교가 국교로 채택되고, 페르시아 문화가 번영.

 

이슬람 시대

 

-  라시둔 칼리프국과 우마이야 왕조(7세기)

이슬람의 확산과 함께 메소포타미아 지역이 이슬람 세계의 일부가 됨.

바그다드가 수도로서 번영하며, 아바스 왕조 시대에는 학문과 문화가 발전.

 

-  몽골 침략과 이후의 혼란(13세기)

1258년 훌라구 칸의 바그다드 함락으로 아바스 왕조가 몰락.

이후 여러 왕조와 세력들이 이 지역을 지배.

 

오스만 제국과 근대사

 

-  오스만 제국(16세기~1918년)

오스만 제국의 통치 아래 이라크 지역은 상대적인 안정기를 누림.

바스라, 바그다드, 모술 등 주요 도시가 번영.

 

-  제1차 세계 대전과 영국 통치(1918~1932년)

오스만 제국의 패배로 이라크는 영국의 위임통치령이 됨.

1932년 이라크 왕국으로 독립.

 

현대 이라크

 

-  왕국 시기(1932~1958년)

파이살 1세가 초대 왕으로 즉위하며, 왕국 체제가 시작됨.

1958년 군사 쿠데타로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국이 수립.

 

-  바트당 통치와 사담 후세인(1968~2003년)

1968년 바트당의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

1979년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이 되어 독재 체제가 시작됨.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 걸프 전쟁(19901991) 등 주요 전쟁을 겪음.

 

-  2003년 이라크 전쟁과 그 이후

2003년 미국 주도의 연합군이 사담 후세인 정권을 전복.

이후 정치적 불안과 내전, 이슬람 국가(ISIS)의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음.

최근 몇 년 동안 안정과 재건을 위해 노력 중.

 

이라크 경제

 

 

석유 및 가스 산업

 

-  석유 자원

이라크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확인된 석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석유 수출이 국가 수입의 90% 이상, GDP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은 바스라, 키르쿠크, 모술 등입니다.

 

-  가스 자원

천연가스 매장량도 풍부하며, 석유와 함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됩니다.

가스 산업은 상대적으로 덜 개발되었으나, 최근 들어 투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농업

 

-  농업의 중요성

농업은 이라크 경제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부문입니다.

주요 작물은 밀, 보리, 쌀, 대추야자 등이 있습니다.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을 통한 관개 농업이 이루어집니다.

 

-  도전과 기회

전쟁과 내전으로 인한 기반 시설 파괴와 환경 문제로 농업 생산성이 낮아졌습니다.

정부와 국제기구의 지원을 통해 농업 재건과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산업 및 제조업

 

-  석유화학 및 제조업

석유화학 제품 제조가 주요 산업 중 하나입니다.

석유 부문 외에도 철강, 시멘트, 섬유 등의 산업이 있습니다.

 

-  제조업 활성화 노력

정부는 산업 다각화를 위해 제조업 발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제조업 부문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서비스업

 

-  금융 및 은행업

금융 부문은 아직 발전 초기 단계에 있으며, 현대화와 개혁이 필요합니다.

중앙은행은 경제 안정과 인플레이션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관광업

풍부한 역사적 유산과 종교적 명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불안과 안전 문제로 인해 관광업 발전에 어려움이 있지만, 안정화 후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도전과 기회

 

-  정치적 불안정

정치적 불안정과 보안 문제는 경제 발전의 큰 장애물입니다.

IS와 같은 테러 조직의 활동이 경제 활동에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  인프라 재건

전쟁과 내전으로 파괴된 인프라를 재건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  경제 다각화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경제 다각화가 필요합니다.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부문에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국제 협력과 지원

 

-  국제기구와의 협력

세계은행, IMF, UN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경제 개혁과 재건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외 원조와 투자가 경제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 투자 유치

안정된 경제 환경을 제공하여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석유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 기회가 존재합니다.

 

이라크 경제는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이 크지만, 정치적 안정과 인프라 재건, 경제 다각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