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SE

파키스탄 역사와 GDP 경제 순위 본문

세계 역사와 경제

파키스탄 역사와 GDP 경제 순위

Bunse 2024. 7. 6. 01:53

파키스탄"Pakistan"은 아시아 남부, 인도 서북방에 위치하고 있는 공화국으로 수도는 이슬라마바드"Islamabad"입니다.

 

파키스탄 면적은 약 79만 6100㎢(세계 35위)으로 한반도의 약 3.5배 크기이며, 인구는 약 2억 4520만 명(세계 5위)입니다.

 

파키스탄 국내총생산 GDP는 약 3765억 달러로 세계 42위이며, 1인당 GDP는 1,597달러로 조사대상 153개국 중에서 127위입니다.

 

지금부터 파키스탄 역사와 경제 상황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파키스탄 국기

 

 

 

 

파키스탄 역사

 

고대 및 중세 시대

 

-  인더스 문명 (기원전 25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 파키스탄 지역은 인더스 문명의 중심지로,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와 같은 고대 도시가 존재했습니다. 이 문명은 정교한 도시 계획과 배수 시스템으로 유명합니다.

 

-  베다 시대 및 초기 철기 시대 (기원전 1500년경 - 기원전 600년경):

아리아인들이 인더스 계곡으로 이동하면서 베다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  마우리아 제국 (기원전 322년 - 기원전 185년):

마우리아 제국은 파키스탄 지역을 포함하여 인도 아대륙을 통합한 최초의 대규모 제국이었습니다. 아소카 황제 치하에서 불교가 번성했습니다.

 

-  쿠샨 제국 (기원후 1세기 - 3세기):

쿠샨 제국은 중앙아시아와 북인도를 포함한 넓은 지역을 지배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파키스탄 지역은 불교와 힌두교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  굽타 제국 (4세기 - 6세기):

굽타 제국은 북인도를 중심으로 번성했으며, 파키스탄 지역도 그 문화적 영향을 받았습니다.

 

-  이슬람 정복 (8세기 - 10세기):

아랍 이슬람 제국이 신드 지역을 정복하면서 이슬람이 도입되었습니다.

 

중세 및 근대 초기

 

-  가즈니 왕조 및 구르 왕조 (10세기 - 12세기):

마흐무드 가즈니와 같은 통치자들이 북인도와 파키스탄 지역을 정복했습니다.

 

-  델리 술탄국 (1206년 - 1526년):

델리 술탄국의 통치하에 파키스탄 지역은 이슬람 문화와 경제의 중심지로 발전했습니다.

 

-  무굴 제국 (1526년 - 1857년):

무굴 제국은 인도 아대륙을 통합했으며, 파키스탄 지역은 번성하는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였습니다. 이슬람과 힌두교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건축과 예술이 발전했습니다.

 

근대 및 현대

 

-  영국 식민지 시대 (1858년 - 1947년):

세포이 반란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가 끝나고, 파키스탄 지역은 영국의 직접 통치 하에 놓였습니다.

 

-  파키스탄의 독립 (1947년):

1947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무슬림 다수 지역인 서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현재의 방글라데시)이 하나의 국가로서 파키스탄으로 독립했습니다. 이 시기는 분할로 인해 대규모 인구 이동과 종교적 폭력이 발생했습니다.

 

-  파키스탄의 발전과 분쟁 (1947년 - 현재):

파키스탄은 1971년 동파키스탄의 독립으로 방글라데시가 분리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후에도 인도와의 카슈미르 분쟁, 군사 정권과 민간 정부의 교체 등 다양한 정치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 경제

 

주요 경제 부문

 

-  농업

파키스탄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농업은 전체 GDP의 약 20%를 차지하며, 노동력의 40% 이상이 이 부문에 종사하

고 있습니다.
주요 작물로는 밀, 쌀, 면화, 설탕수수 등이 있으며, 과일과 채소 재배도 활발합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 물 부족, 비효율적인 농업 관행 등이 도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  제조업

제조업은 GDP의 약 20%를 차지하며, 텍스타일 및 의류 산업이 주요 산업입니다.

파키스탄은 세계적인 섬유 수출국 중 하나로, 섬유 및 의류 제품이 수출의 주요 품목을 구성합니다.

그 외에도 자동차, 시멘트, 화학, 식품 가공 등의 산업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업

서비스업은 GDP의 약 60%를 차지하며, 금융, 통신, 소매업, 관광 등이 주요 분야입니다.

정보통신기술(ICT) 부문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과 IT 서비스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과 도전 과제

 

-  경제 성장

최근 몇 년간 파키스탄의 경제 성장률은 약 3-4% 사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개발도상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지만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특히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CPEC) 사업이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  도전 과제

 

재정 적자 및 부채: 파키스탄은 높은 재정 적자와 외채 부담을 안고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과의 협약을 통해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높은 인플레이션율은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경제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정치적 불안정: 정치적 불안정과 보안 문제는 투자 유치와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에너지 부족: 에너지 부족 문제는 제조업 등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에너지 인프라 투자가 필요합니다.

 

무역과 외교

 

-  주요 무역 파트너

 

주요 수출품은 섬유 및 의류, 쌀, 가죽 제품, 스포츠 용품 등이며, 주요 수출국은 미국, 중국, 영국, 독일 등입니다.
주요 수입품은 석유, 기계, 화학 제품, 철강 등이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UAE, 미국, 일본 등입니다.

 

-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CPEC)

 

중국과의 경제 협력 프로젝트인 CPEC는 파키스탄의 인프라 개발, 에너지 프로젝트, 산업 단지 건설 등을 포함하여 파키스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파키스탄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 전략의 일환으로 양국 간 경제적, 전략적 협력을 강화합니다.

 

파키스탄은  풍부한 자원과 전략적 위치 덕분에 경제 발전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안정과 더불어 국제 협력, 구조적 개혁 등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