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SE
이스라엘 역사와 GDP 경제 순위 본문
이스라엘"Israel"은 아시아 서남부 지중해 동남쪽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로 수도는 예루살렘"Jerusalem"입니다.
이스라엘 면적은 22,072㎢(세계 151위)으로 한반도의 약 0.1배의 크기이며 인구는 약 931만 명(세계 97위)입니다.
이스라엘 국내총생산 GDP는 약 5306억 달러로 세계 29위이며, 1인당 GDP는 43,372달러로 세계 20위입니다. *조사대상 192개국
지금부터 이스라엘 역사와 경제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이스라엘 역사
고대사
- 기원전 2000년경: 아브라함이 가나안(현재의 이스라엘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 기원전 13세기: 출애굽 사건이 발생하며, 모세가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합니다.
- 기원전 10세기: 다윗 왕과 솔로몬 왕이 통치하며 이스라엘 왕국이 번영합니다. 예루살렘이 수도로 정해지고, 솔로몬 성전이 건설됩니다.
고대와 중세사
-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 제국이 북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합니다.
- 기원전 586년: 바빌론 제국이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남유다 왕국이 멸망하며 바빌론 포로기가 시작됩니다.
- 기원전 538년: 페르시아 제국이 바빌론을 정복하고 유대인들에게 귀환을 허용합니다. 이 시기에 두 번째 성전이 건설됩니다.
- 기원전 332년: 알렉산더 대왕이 이 지역을 정복하며 헬레니즘 문화가 확산됩니다.
- 기원전 63년: 로마 제국이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유대인들의 자치권을 제한합니다.
로마 시대와 중세
- 서기 70년: 유대인 반란이 실패하고, 로마 제국이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두 번째 성전을 무너뜨립니다.
- 135년: 바르 코흐바 반란 이후 유대인들이 대규모로 추방됩니다.
- 7세기: 이슬람 제국의 확장으로 예루살렘과 주변 지역이 이슬람 지배하에 들어갑니다.
근대사
- 19세기 후반: 시오니즘 운동이 시작되며,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이주가 본격화됩니다.
- 1917년: 영국이 "벨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 설립을 지지합니다.
- 1947년: 유엔이 팔레스타인을 유대인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할하는 결의안을 채택합니다.
현대사
- 1948년: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고, 아랍 국가들과의 전쟁이 시작됩니다. 이 전쟁은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나고,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합니다.
- 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예루살렘 동부, 요르단 강 서안, 가자 지구 등을 점령합니다.
- 1979년: 이스라엘과 이집트가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통해 평화 협정을 체결합니다.
- 1993년: 오슬로 협정을 통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간의 평화 프로세스가 시작됩니다.
- 2000년대 이후: 여러 차례의 분쟁과 평화 협상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충돌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경제
주요 산업
- 기술 및 스타트업
이스라엘은 "스타트업 네이션"으로 불리며, 높은 기술력과 혁신적인 기업 문화로 유명합니다. 텔아비브는 세계적인 기술 허브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버 보안 등이 주요 산업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이스라엘의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현지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농업 및 물 관리
이스라엘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고도로 발전된 농업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물 관리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드립 관개 시스템, 수경재배, 재활용수 사용 등 혁신적인 농업 기술이 전 세계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 군수 산업
이스라엘은 세계에서 가장 큰 군수 산업 국가 중 하나로, 무기, 방위 시스템, 드론 등의 생산과 수출이 활발합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군사 장비와 보안 시스템이 주요 수출 품목입니다.
- 의료 및 생명과학
의료기기, 바이오테크, 제약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혁신적인 제품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에는 여러 생명과학 연구소와 첨단 의료 기업이 위치해 있습니다.
무역
- 주요 수출품: 기술 제품, 군사 장비, 의약품, 농산물 등이 주요 수출 품목입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이 주요 수출 대상국입니다.
- 주요 수입품: 원자재, 기계류, 화학제품, 연료 등이 주요 수입 품목입니다.
경제 정책 및 도전 과제
- 혁신 및 연구개발 투자: 이스라엘은 GDP의 상당 부분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혁신을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 교육 및 인적 자원: 고도로 교육받은 인력이 많으며, 특히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안보 상황: 지속적인 안보 위협은 경제 발전에 장애물로 작용합니다. 군사 비용과 안보 관련 지출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기술 혁신, 농업 기술, 군수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강력한 경제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고급 인력 양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안보 상황을 관리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계 역사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역사와 GDP 경제 순위 (1) | 2024.07.01 |
---|---|
싱가포르 역사와 경제 GDP 순위 (0) | 2024.07.01 |
노르웨이 역사와 GDP 경제 순위 (1) | 2024.06.30 |
아랍에미리트 역사와 GDP 경제 순위 (2) | 2024.06.30 |
오스트리아 역사와 GDP 경제 순위 (1) | 2024.06.30 |
태국(타이) 역사와 GDP 경제 순위 (0) | 2024.06.30 |
아일랜드 역사와 GDP 경제 순위 (0) | 2024.06.29 |
아르헨티나 역사와 GDP 경제 순위 (1) | 2024.06.29 |